영월김삿갓부동산공인중개사 : 033-373-1133

영월지역 부동산중개 : 토지.아파트.상가,주택.빌라.농지. 임야.펜션. 점포.사무실,원룸 기타

부동산 . 음악. 좋은글. 건강. 생활이야기

▶생활,문화 좋은글란

인생도 바람이고 구름인것을 즐겁게 살아요

영월🏕김삿갓부동산 2020. 1. 5. 22:33





김삿갓 (본명. 김병연) 부석사에 들러. 시 한수 남긴 현판


부석사(浮石寺)의 내력

부석사(浮石寺)는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데,

676년(신라 문무왕 16)에 고승 의상조사(義湘祖師)가 창건한 이래

 우리나라 화엄종의 총 본산이었으며,

경내에는 천년 고적을 아직까지 고이 간직하고 있으니

목조의 무량수전과 조사당을 비롯해서 석등,

석탑, 본존불상과 조사당의 벽화 및 석조여래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는 국보 사찰이다.

 

부석사의 유래를 살펴보면,

676년(文武王16)에 왕명을 받아 부석사를 창건하고

화엄학을 전교한 의상조사는 625년(眞平王47) 당시

 귀족의 가정에 태어나 호화롭게 성장하였다.

 

그 뒤 그는 서울 황복사에서 삭발하고 중이 되어 입산수도를 했다.

 입산한지 8년만에 큰 뜻을 품고 원효대사와 함께 당나라로 향했다.

당나라를 거쳐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까지 가려는 것이었다.

압록강을 건너 요동에 이르러 노숙을 하는 어느날 밤

원효대사는 아주 심한 갈증을 느꼈다.

 

 어두운 곳을 수없이 더듬거리다가 끝내는

바가지 같은 것에 물이 고인 것을 잡아 꿀꺽 꿀꺽 들여 마셨다.

그러나 이튿날 아침 잠을 깬 원효대사는 깜짝 놀랐다.

물일 마신 그 그릇이 바가지가 아니라 사람의 해골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보니 보지 않고 마실 때 그토록 맛있던 물이

알고 보니 토하고 싶도록 비위에 거슬린다는 데 깨달은 바 있어

 인도로 향하던 발길을 돌려 귀국한 후 계속 불교연구에 힘썼던 것이다.

 그러나 의상조사는 홀로 당나라를 향해 길을 떠났다.

 

도중에 조사는 고구려 첩자에게 잡혀 고생을 하다가 귀국하여

 661년에 다시 당나라의 사신의 배를 타고 당나라로 들어갔다.

양주(陽州)에 이르러서 신병을 얻게 되어 양주성의 수위장인

 유지인(劉至仁)의 집에 유숙하며 병을 치료하던 중,

그의 딸 선묘(善妙)라는 처녀가 있어 몇 달이 지나자

어느덧 의상조사에게 연정을 갖게 되었다.

이에 조사는 선묘의 마음을 그대로 받아 들이지 않고

 법도로 대하여 제자로 삼게 되었다.

 

어느덧 그녀의 정성으로 몸이 완쾌하게 된 조사는

다시 길을 떠나게 되었다.

이때 선묘가 조사에게 청하기를,

"귀국하실 때 이곳을 지나시면

꼭 소녀의 집에 다시 한번 들려주시고 가십시오

"라고 간곡히 부탁했다.

조사는 이러한 부탁을 쾌히 승낙하고 길을 떠났다.


얼마후 조사는 당나라 서울 장안 남쪽에 있는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 가서

지엄대사(智嚴大師)의 제자가 되어 수학하던 중

당(唐)이 30만 대군으로 신라를 침범하려는 형세임을 알고

 오직 구국일념(救國一念)으로 671년(文武王 11)에 급히 귀국하게 되었다.

 

조사는 귀로에 양주 선묘의 집에 이르니 마침 출타 중이라

만나지 못하고 가는 것을 전해 달라고 그녀의 부모에게 부탁한 후

다시 길을 재촉하였다. 한편, 선묘는 조사의 귀국 선물로

법의(法衣)를 정성껏 마련하여 손꼽아 기다리던 중,

잠시 집을 떠난 사이에 조사가 여정이 급하여 머물지 못하고

 다녀갔다는 이야기를 부모로부터 듣고,

 만들어 두었던 선물을 가지고 조사를 쫓아

 산동성(山東省)해안에 다다르니 조사가 탄 배는

바다 위에 흰 돛만 보일 뿐이었다.

 

그녀는 멀어져 가는 돛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섰다가

들고 있던 선물을 바닷물에 던지며 축원하기를 "

진심으로 조사님께 공양하오니 원컨대

이 옷이 조사님께 이르도록 해 주옵소서".

하였더니 때마침 해풍이 크게 일어나면서 던진 선물이

조사가 탄 배 안으로 날아갔다.

이를 보고 있던 선묘가 다시 축원하기를

 "이 몸이 용이 되어 조사를 받들어 무사히 귀국하도록 해 주옵소서"

하며 바닷물에 몸을 던지니,

기이하게도 선묘는 바라던 대로 용이 되어

조사의 멀고 험한 귀국의 길을 줄곧 호위하였는지라,

조사는 무사히 귀국하여 나라에 당의 침략 흉계를 고하고 난을 면하게 하였다.

 

그 후 조사는 왕으로부터 사찰 건립의 명을 받들어

영주시 봉황산에 이르러 지세를 살펴본 즉

화엄종지(華嚴宗旨)를 크게 선양할 수 있는 명산이나

 먼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이교(異敎)의 무리들 5백여명이

점령하고 있으므로 수차 이들에게

 자리를 양보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이들이 막무가내로 듣지 아니하여 고심을 하고 있을 때,

용으로 화신한 선묘가 공중에서 바라보니

순리로는 조사의 뜻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짐작하고

 법력(法力)을 써 지금의 무량수전 서편에 있는 큰 바위를 공중으로 울렸다

 내렸다 3차례나 하였더니 무리들이 겁을 집어 먹고 굴복하였다.

 이 자리에 사찰을 건립한 것이 부석사이며

이교도들을 놀라게 하기 위하여 공중에서 세 번이나 떳다는 큰 바위를

 부석(浮石)이라 불러 무량수전 서편 암벽 밑에

거대한 모습으로 묵중히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선묘룡(善妙龍)은 석룡(石龍)으로 화하여

무량수전의 자리에 안좌되어 부석사의 수호신이 되려 하매

조사를 크게 감격케 하였다.

지면에서 2척 깊이에 묻혀 있는 48척의 석룡은

그 머리를 무량수전 주불(主佛) 밑에 두고

 꼬리는 무량수전 앞 석등까지 펼쳐 있다.

 

이 석룡은 1967년 5월에 신라 5악 학술조사단이

무량수전 앞 뜰에서 발굴하여 5m가량의 석룡 하반부를

발견하는 데 성공하였다.

비늘 모습까지 아련히 나타나 있는 그 모습이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용과 너무나 흡사하여

 천연석으로 볼 수 없는 천연스러운 용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구 영주군지 .부석사지
영남의 전설,유증선 저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신 후 원효대사와 헤어지는 의상대사

 

 

중국 등주에서의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만남

 

 

 

신이한 꿈을 꾼 지엄대사의 문하에 들어가는 의상대사

 

 

 

용이된 선묘낭자의 호위로 무사히 신라로 귀국하는 의상대사

  

 

 

용으로부터 여의보주를 받는 의상대사


 

 

낙산사를 창건하는 의상대사

 

 

선묘낭자의 도움을 받아 부석사를 창건하는 의상대사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사랑

 

우리 나라 불교 화엄종을 처음으로 도입한 신라고승 의상대사(625-702)는 신라왕족의 신분으로 경주 황복사에 출가하여 20세에 불문에 귀의하였다. 그가 원효와 함께 당나라로 구법 유학길에 나선 시기는 진덕여왕 4년(650년)의 일로써 그의 나이 26세였다.


처음 당나라로 떠난 길은 고구려 땅인 요동반도를 거쳐 들어가는 루트였으나 국경에서 고구려군의 검문을 받아 첩자혐의로 체포되어 고생하다가 귀국하였다. 이들은 당나라 유학을 포기하지 않고 재차 시도하였는데 의상이 36세 되던 해에 원효와 함께 서해안 당항성(남양, 오늘날 경기도 화성군 해안 추정)에 다다라 당나라로 떠나는 무역선을 기다렸다.


당나라에 들어가 화엄학을 공부하고 귀국한 시기는 그의 나이 46세가 되던 해이고 처음으로 세운 사찰이 강원도 양양 낙산사와 경북 영주 부석사이다. 의상이 당나라로 떠난 시기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완수하던 시기였고, 백제가 멸망하면서 서해 바닷길이 열렸으나 아직 고구려는 건재하였던 때였으므로 이 위험한 고구려 내륙 루트를 이용하지 않고 뱃길을 택하여 중국 산동반도 등주로 떠났다. 그 당시 산동반도를 비롯한 황해 연안은 신라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신라방(신라주민 집단 거주지)이 있었고 여기에는 신라인들이 출입하는 사찰도 있었는데 의상이 잠시 머문 곳이 적산 법화원이다. 


의상대사에 관련한 중국 내 기록은 고구려 유민으로 당나라에 살면서 승려가 된 북송의 찬영이 저술한 송고승전에 전해오고 있으나 우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구체적 기록이 전해오지 않는다. 의상대사와 관련한 이야기는 부석사 창건 설화에 기록이 전하고 민간 전설에도 전해온다. 그리고 일본 경도 근처 고산사에는 10세기 작품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신라 여인상이 근세 발견되어 국보로 지정되었고, 이 여인상은 다름 아닌 의상대사와 슬픈 사연을 간직한 당나라 처녀 선묘라고 보고 있으며, 이 절에는 화엄연기라는 불교서적이 전해오는데 이 책에 의상과 선묘에 관한 기록이 있다고 한다.


의상이 원효와 함께 당나라 유학을 위해 도착한 곳은 서해안 당주계(신라시대 지명에는 당성, 당항성)이며 그들은 배를 기다리다가 산중에서 노숙하면서 밤중에 비를 만났다. 어둠 속에서 민가를 찾아 헤맸으나 찾지 못하고 움집을 발견하여 그곳에서 밤을 지냈다. 의상과 원효는 밤중에 갈증을 느껴 가까이 고인 물을 달게 마셨다. 먼 여행길에 지치고 피로하여 불편을 잊고 단잠을 잔 뒤 이튿날 날이 새면서 주위를 살펴보니 자신들이 잠을 잤던 그 자리에 해골이 있는 것을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들이 하룻밤을 보낸 곳은 움집이 아니라 피폐해진 무덤 속이었다. 의상은 해골에 고인 물을 자신이 마셨다는 사실을 알고 구토하고 더러움을 느꼈으나 원효는 태연자약한 자세로 오히려 환희에 젖어 있었다. 이튿날도 비가 멎지 않자 또 다시 무덤 속에서 밤을 보내게 되었는데 밤중에 귀신이 나타나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원효는 이틀동안 무덤 속에서의 체험을 통해 크게 깨달은 바가 있어 "心生卽種種法生 心滅卽種種法滅"이라고 갈파하였다. 즉 "마음이 있어야 온갖 사물과 형상을 인식하게 되고 마음이 없으면 이러한 것들도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원효는 "어젯밤 무덤을 무덤이라고 보지 않고 토굴이라고 생각하여 편안히 잠을 잘 수 있었고, 자리를 옮겨 잠을 자면서 귀신을 만났지만 마음으로 물리칠 수 있었다.

 

누구나 생각하기에 따라서 모든 사물의 형상이 다르게 보고 느끼게 되고 또 생각을 멀리하게 되면 무덤이나 토굴의 구별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 따라서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마음가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오직 내 마음 이외 무슨 진리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인가? 나는 깨달았으니 당나라에 가지 않고 경주로 돌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의상은 더 배우기 위해서 홀로 외롭고 험한 길을 택하여 뱃길로 중국을 향했다.


서기 661년에 의상이 중국 땅을 밟은 곳은 산동 반도 북쪽 등주였는데 그는 독실한 불교신도 집에서 잠시 머물렀다. 이 집에는 아름다운 처녀 선묘가 살고 있어 훗날 신라승려 의상과 인연을 맺게 되지만 의상이 여자를 멀리하므로 두 사람은 끝내 만나지 못하고 헤어지게 된다.


의상이 적산에 있는 법화원으로 옮겨 머무는 동안 아침저녁으로 탁발을 나설 때는 선묘가 멀리서 의상을 바라보면서 흠모했다고 한다. 선묘가 절 밖에서 의상이 나오는 것을 기다려 마음을 전하려 했으나 의상은 끝내 받아들이지 않았다. 얼마 후 의상은 이곳에서 서쪽 멀리 당나라 수도 장안으로 떠났으며 근처 종남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지엄대사의 문하에 들어가 10년간 삼장(불교의 기본이 되는 경 · 율 · 논)을 배웠다.


지엄은 의상에게 귀국하면 널리 화엄종을 보급할 것을 당부하였고 의상은 유학을 마치고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기 위해 등주 항구에 나타났다는 소문을 들은 선묘는 자기가 손수 지은 법복을 전해주고자 바닷가로 갔으나 이미 의상을 태운 배는 항구를 떠나고 있었다. 선묘는 마음속으로 그리워하는 의상에게 법복이 무사히 전달되도록 마음속으로 빌면서 배를 향하여 던지니 법복은 무사히 의상 품안으로 떨어졌다.

선묘는 평소 독실한 신도로써 의상을 그리워하면서도 의상이 불법을 공부하여 득도하고 무사히 귀국하도록 부처님에게 빌었다. 의상이 떠나자 함께 따라 갈 수 없게 되어 선묘는 자신이 용이 되어 달라고 하늘에 빌면서 황해바다에 몸을 던졌다. 하늘이 이에 감읍하여 선묘는 용이 될 수 있었고 용이 된 선묘는 의상이 탄 배를 호위하면서 신라까지 무사히 보살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신라에 돌아온 의상은 뜻하는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이상히 여겼지만 나중에서야 용이 된 선묘의 보살핌이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의상이 귀국 후 처음 세운 절은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이고 그 다음이 태백산 근처 봉황산 아래 지은 부석사이다. 문무왕의 부름을 받고 경주에 내려가 명산대천에 사찰을 지으라는 분부를 받고 절터를 정한 곳이 곧 부석사이다. 그는 문무왕 10년(676년)에 이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으나 이미 이곳에 와서 절을 짓고 사는 5백여명의 다른 종파의 불승들이 크게 반발하였다. 의상은 마음속으로 부처님에게 어려움을 호소하자 갑자기 하늘에서 바위로 변한 선묘의 용이 나타나 3일 동안 공중에 머물면서 반대하는 불승들을 향하여 내리칠 듯 위협하니 그들은 두려워서 달아나고 종국에는 굴복하여 새 절을 짓는데 협조하게 되었다.


어리고 착한 선묘의 넋이 용이 되어 의상을 보호하고 불법을 지키는 수호용이 된 것이다. 선묘가 바위가 되어 땅에 내려앉은 바위를 부석이라 하고 선묘의 도움으로 지어진 이 절의 이름을 부석사 라고 지었다. 현재 부석사에 선묘와 관련한 전설이 전하는 곳은 부석, 선묘각(선묘상을 모신 사당), 선묘정, 석룡이다. 절 동쪽에는 선묘정이 있고 서쪽에는 가물 때 기우제를 지내던 식사용정이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 아래 묻혀 있는 석룡은 절의 수호신으로 받들어지고 있는데 아미타불 불상아래에 용머리가 묻혀있고 절 마당 석등 아래에 꼬리가 묻혀있다고 한다. 근세 이 절을 보수할 때 비늘이 새겨져 있는 석룡이 묻혀있는 것을 보았다고 하며 그 당시 무량수전 앞뜰에서 절단된 용의 허리부분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원정군으로 참전한 이여송이 우리 나라 명산을 찾아다니면서 인재가 태어날 곳에는 지맥을 많이 끊었다고 하며 그 무렵 이 절의 석룡의 허리가 짤렸다고 한다. 이러한 전설은 신라시대 원효와 요석공주의 이야기처럼 의상과 선묘낭자의 사랑은 애틋하고도 아름다운 이야기로 우리 가슴에 남아있다.

 

 

 

부석의 뜻은 '공중에 떠있는 돌'이라는 뜻이다.
의상대사를 사모하던 당나라 아가씨 선묘라는 여인이
의상대사를 보호하기 위해 큰 바위가 되어 몸을 던져
위험에서 대사를 구했다는 전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