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 상징물 소개 |
|
|
|
|
|
군기 |
다람이 |
철쭉 |
두견이 |
대추나무 |
영월의 유래와 역사 330년 고구려 미천왕때 내생현 826년 신라 흥덕왕때 내성현 1372년 고려 공민왕때 영월군으로 승격 1689년 조선 숙종 24년에 영월부로 승격 1895년 조선 고종 32년에 다시 영월군으로 승격 1913년 양변면을 주천면, 수주면으로 천상면을 군내면으로 개칭 1937년 군내면을 영월면으로 개칭 1960년 영월면이 영월읍으로 승격 1973년 상동면이 상동읍으로 개칭 1986년 상동읍이 상동읍, 중동면으로 분할 현재 2개읍 7개면 (영월읍, 상동읍, 중동면, 하동면, 북면, 남면, 서면, 주천면, 수주면) |
영월의 역사 영월의 상징물 위치 및 면적 영월지방 기상
한 시대에는 진한의 일부분이었고, 고이왕(234~286년)때 백제에 속하게 된 영월은 백월(百越)이라고 하였는데, 가구수가 100호가 넘는다는 뜻이있었다 한다.
그 후 고구려 미천왕(300~331년)때 고구려 남하로 그 속령이 되었으며 초기에는 내생현(奈生縣)이라 했다.
신라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이 고장도 신라에 속하게 되었는데 초기에는 신주(新州)에 속하게 되었고, 757년 경덕왕 16년, 정유 12월에 통일후 지방 행정구역을 정비할 때 9주(州) 5소경(小京)으로 구획(區劃)하면서 내생군을 내성군(柰城郡)으로 고쳐 명주(溟州-지금의 강릉)에 소속시켰으며 지금의 평창, 주천, 영춘을 내성군에 소속시켰다.
고려 시대에는 성종(成宗) 14년(995년) 1월 내성현의 일부이던 백오현을 평창현으로, 자춘현을 영춘현으로 고쳐 주천현과 함께 원주군에 소속되었다.
이 고장이 지금의 지명인 영월로 된 것은 1167년 의종 21년이며, 1372년 공민왕 21년 5월 이 고을 출신 연달마실리(延撻磨失里)가 환관(宦官)으로 명나라에 있으면서 큰 공을 세웠다 하여 영월현을 군으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1399년 영월군을 강원도에 이속시켰다.
1698년 숙종 24년에는 영월에 유배되어 숨진 노산군을 단종으로 복위하고, 그 능묘가 있는 영월군을 도호부로 승격하고 부사를 배치했다.
그후 고종 32년(1895년) 도호부를 없앨때 다시 군이 되었으며 원주, 평창, 정선과 함께 충주부에 편입되었다가 1896년 다시 강원도로 복귀 되었다.
1905년 주천면과 수주면이 다시 편입되었고, 1960. 1. 1 영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63. 1. 1 경북 봉화군 춘양면 천평리(川坪里)와 덕구리(德邱里)가 영월군에 편입된 반면, 수주면 강림리, 부곡리, 월현리가 횡성군으로 이속되었다.
1973년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가 영월군에 편입되었으며, 상동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