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짜르트 피아노 소나타 11번 3악장 "터키행진곡" (이보 포고넬리치 연주)
"깜짝 놀랐소.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소. 초고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정한 곳은 찾아볼수가 없었으니 한군데도... 머리속에서 완성한 것을 단지 옮겨쓴것에 불과했소. 한장씩 넘겨가며 마치 받아적은것 같은...
여태까지 못보던 음악이었소. 음표 한개를 바꾸어도 어색해지고 한소절만 바꾸어도 전체구성이 무너져 버리는...
다시 신의 그 음성을 들었소. 섬세한 필체를 통해서 들려오는 미의 극치..."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살리에리의 독백-
밀로스 포만 감독의 영화 "아마데우스"는 모짜르트를 잘 묘사했지만, 궁정악장인 살리에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장면뒤로 살리에리는 모짜르트의 천재적인 능력을 준 신을 원망하게 되고, 모짜르트에 대한 시기와 질투는 갈수록 커져간다. 결국 모짜르트보다 못난 능력을 준 십자가를 태움으로써 모짜르트에 대한 파멸을 준비한다.
이 장면에 아름다운 모짜르트 곡들이 흘러나옵니다. 수없이 많은 그의 아름다운 음악중에서 이 장면속에 나오는 곡들은 플륫과 하프를 위한 협주곡 2악장, 교향곡 29번 A Major 1악장,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E flat major 3악장,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 1악장 그리고 미완성 미사곡 Missa in C minor 中 Kyrie(소프라노 솔로)입니다.
☜ 영화 "아마데우스" O.S.T
모짜르트는 1596년 1월 27일날 오스트리아 짤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내일이 그의 생일이 된다. 올해 2006년이 모짜르트 탄생 250주년이 되고, 전세계적으로 기념행사가 한창이다. 오스트리아는 "2006년은 모짜르트해"로 지정했다. 그래서인지 올해에는 모짜르트에 대한 음반과 공연들이 많다.
모짜르트의 아이큐가 250정도라고 한다. 그가 얼마나 천재인지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아는 사실이다. 명곡으로 분류되는 수많은 작품을 분석할 때에도, 모짜르트는 당연히 열외로 치고 다른 작곡가들의 곡들을 분석하는 것도 그가 남긴 작품들이 하나같이 뛰어나다는 증거이다.
베버에게는 하인리히 베르만이 있다면, 모짜르트는 안톤 스타틀러라는 뛰어난 클라리넷 연주가가 있다. 클라리넷을 위한 곡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되는 것이 모짜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과 "클라리넷 오중주"인데, 각각 협주곡과 실내악의 정수로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이 작품들이 바로 스타들러에게 헌정이 되었는데, 그는 모짜르트와 같은 프리메시슨 단체의 회원이었고, 만년 모짜르트가 궁핍한 생활을 할 때 그를 위한 작품을 위촉하고, 돈을 빌려준 친구였다.
슈타틀러는 클라리넷의 저음 영역을 보강한 바셋 클라리넷을 직접 개조해서 모짜르트의 곡들을 연주했다고 한다.
Concerto for Clarinet and Orchestra in A, K.622
클라리넷 - 레오폴드 블라하 지휘- 아르투르 로진스키 비인 국립 가극장 관현악단
모짜르트가 죽기 2달전에 완성된 것으로써, 친구 안톤 스타틀러에게 헌정되었다. 불우한 만년의 쓸쓸한 정감이 클라리넷으로 잘 표현된 명곡이다.(1954년 모노 레코딩)
1악장 Allegro 2악장 Adagio 3악장 Rondo -Allegro
♬"아웃 오브 아프리카"의 주제음악 Dana Winner의 "Stay with me till the morning"
Clarinet Quintet in A, K.581(슈타들러 오중주)
클라리넷 - 칼 라이스터 아마데우스 4중주단
이곡 어디에서도 우리는 그가 생활고에 찌들렸다는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이 곡에서도 모짜르트는
고통의 경험조차 따스하고 아늑한 시간으로 추억하게 한다. 슬픔과 가난에 대한 기억도 세월이 지나면 아름다움이 된다고 하던가. 나는 이곡의 2악장 만큼 이 말의 의미를 절실하게 떠올리게 하는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진회숙의"클래식 오딧세이"에서-
1악장 Allegro 2악장 Lagretto 3악장 Menuetto 4악장 Allegretto
Kegelstadt Trio fot Clarinet, Viola and Piano in E flat major KV.498(케겔슈타트 트리오)
클라리넷 -Ralph Manno 비올라 - Hartmut Rohde 피아노 - Alfredo Perl
이 곡은 모짜르트 제자 프란체스카를 위해 작곡된 것으로써, 모짜르트가 스키틀 게임을 하는 도중에 작곡되었다고 한다.
1악장 Andante 2악장 Menuetto 3악장 Rondeaux-Allegretto
모짜르트 "피가로의 결혼" 中 "더 이상 날지 못하리!" - 바리톤 브린 터펠
모짜르트 얼굴을 인쇄한 쵸콜렛인 "모짜르트 쿠겔"(Mozartkugeln) 1880년에 나온 이 쵸콜렛은 한 해에 9000만여개가 수출된다고 한다. 짤츠부르크 방문시 구입해야할 필수목록 중의 하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