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김삿갓부동산공인중개사 : 033-373-1133

영월지역 부동산중개 : 토지.아파트.상가,주택.빌라.농지. 임야.펜션. 점포.사무실,원룸 기타

부동산 . 음악. 좋은글. 건강. 생활이야기

▶영월지역 이모저모

▶ 단종 국장 제향

영월🏕김삿갓부동산 2008. 4. 3. 16:31



이렇듯 단종제향은 숙종 24년(1698)부터 시작하여 2008년까지 행한 제향 숫자는 총 321회이다. 장릉이 다른 왕릉과 틀린 점은 단종을 위해 충절과 목숨을 바친 충신들을 배향하기 위하여 정조15년(1791)에 배식단사를 세우고 268인의 충신들의 위판을 모시고 단종제향 때마다 배향하는 충신제향은 218회를 맞이한다.단종제향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왕릉에 제향을 올리는 것으로 지난 1967년 단종문화제를 개최하면서 매년 단종제향일을 즈음하여 지역문화제가 함께 치러짐으로써 영월군의 독특한 문화행사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단종제향시의 축문과 제향홀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執禮 贊儀 先拜 就位 (집례 찬의 선배 취위) (집례와 찬의는 먼저 절을 하고, 각자 자기 위치로 가시오) 樂師率 樂員 佾舞員 入就位 (악사솔 악원 일무원 입취위) (악사장은 악원과 일무원을 거느리고 제자리로 가시오) 諸執事 入就拜位 北向立 (제집사 입취배위 북향립) (모든 집사는 절할 자리로 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鞠躬四拜 俯伏. 興平身 (국궁사배 부복. 흥평신) (몸을 굽혀 4번 절하시고, 일어나 몸을 편히 가지시오. 절 하시오) 贊儀引 諸執事 詣洗位 洗訖 (찬의인 제집사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모든 집사를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諸執事 陞自東階 各 就位 (제집사 승자동계 각 취위) (모든 집사는 동쪽계단으로 올라, 각자 제자리로 가시오.) 贊儀引 諸獻官 入就拜位 西向立 (찬의인 제헌관 입취배위 서향립) (찬의는 모든 헌관을 모시고 절할 자리로 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도록 하시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熙文을 반복해서 연주한다. 參祭員 入就拜位 北向立 (참제원 입취배위 북향립) (참제원은 절 할 자리로 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贊儀詣 初獻官之左 啓請行事 (찬의예 초헌관지좌 계청행사) (찬의는 초헌관 좌측에 이르러, 행사 시작을 청하시오.) 獻官及 諸執事 參祭員 鞠躬四拜(헌관급 제집사 참제원 국궁사배 ) (목례 또는 부복하여 사배) 搢笏 (진홀) (모든 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국궁 (鞠躬) (무릎을 꿇어 절하시오) 배 --- 흥, 배 --- 흥, 배 --- 흥, 배 --- 흥 興平身 (흥평신) (일어나 몸을 편히 하시오) 執笏 (집홀) (모든 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行 晨?禮(행 신관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초헌관이, 제실에서 신을 맞이하는 예입니다) 贊儀引 初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초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초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奠幣熙文을 연주한다. 贊儀引 初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초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동쪽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酌 (감작) (초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 가시오) 搢笏(진홀) (초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三上香 (삼상향) (초헌관은 향합의 향을 세 번 나누어 향로에 사르시오.) 執瓚 灌池 (집찬 관지) (용찬인 제주를 관지에 부으시오.) 執幣 獻幣 (집폐 헌폐) (폐백을 드리시오.) 初獻官 俯伏, 興平身 (초헌관 부복, 흥평신) (초헌관은 무릎을 꿇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몸을 편히 가지시오, 엎드리시오) 執笏 (집홀) (초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初獻官 降復位 (찬의인 초헌관 강복위) (찬의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가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大祝 進饍 (대축 진선) (대축과 모든 집사는 준상과 제상의 복지를 벗기시오.) 行 初獻禮 (행 초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초헌관이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熙文-기명-歸仁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기명-歸仁을 다시 연주한다. 贊儀引 初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초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동쪽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酌 (감작) (초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초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執爵 獻爵 (집작 헌작) (초헌관은 잔을 받들어 눈높이만큼 올렸다가 집사에게 전하시오.) 大祝 啓盖 揷匙西柄正箸 (대축 계개 삽시서병정저) (대축은 수라 덮개를 열고 숟가락은 바닥을 동쪽으로 하여 메에 꽂고, 젓가락은 자루를 서쪽으로 하여 시접에 걸치시오.) 初獻官 俯伏, 興 少退 (초헌관 부복, 흥 소퇴 궤) (초헌관은 무릎을 꿇고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 꿇어앉으시오.) (엎드리시오) 諸獻官 執事及 參祭員 俯伏 (제헌관 집사 급 참제원 부복) (모든 헌관과 집사는 바닥에 손을 짚고 엎드리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大祝 東向 讀祝 (대축 동향궤 독축) (대축은 동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 단종대왕님의 신명이시여! 세월이 흘러 대왕을 흠모하는 정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을 드리오며 절을 하오니 편히 흠향 하옵소서 樂作 (악작) (악을 연주하시오) ※ 鼓三慟을 하고 基命-歸仁을 연주한다. 諸獻官 執事及 參祭員 興平身 (제헌관 집사급 참제원 흥평신) (모든 헌관 집사는 일어나서 몸을 편히 하시오.) 執搢 (집홀) (모든 헌관과 집사는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初獻官 出自西門 降復位 (찬의인 초헌관 출자서문 강복위)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保太平之舞退 定大業之舞進 (보태평지무 퇴 정대업지무 진) (보태평의 춤은 물러나고, 정대업의 춤은 들어오시오) 行 亞獻禮 (행 아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아헌관이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贊儀引 亞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아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아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악작 정대업지악 정대업지무작) (악원은 정대업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정대업지무를 추시오) ※ 晉鼓十慟한 후에 昭武-篤敬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篤敬을 반복 연주한다. 贊儀引 亞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아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아헌관을 모시고 동쪽 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爵 (감작) (아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아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아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執爵 獻爵 (집작 헌작) (잔을 받들어 눈높이만큼 올렸다가 집사에게 전하시오.) 亞獻官 俯伏 興平身 (아헌관 부복 흥평신) (아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서 몸을 편히 하시오.) 執笏 (집홀) (아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亞獻官 出自西門 降復位 (찬의인 아헌관 출자서문 강복위) (찬의는 아헌관을 모시고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 拍을 쳐서 앞의 음악을 끊고 永觀을 연주한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行 終獻禮 (행 종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종헌관이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贊儀引 終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종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종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악작 정대업지악 정대업지무작) (악원은 정대업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정대업지무를 추시오) ※ 晉鼓三慟한 후에 昭武-篤敬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篤敬을 반복 연주한다. 贊儀引 終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종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종헌관을 모시고 동쪽 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爵 (감작) (종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종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이렇듯 단종제향은 숙종 24년(1698)부터 시작하여 2008년까지 행한 제향 숫자는 총 321회이다. 장릉이 다른 왕릉과 틀린 점은 단종을 위해 충절과 목숨을 바친 충신들을 배향하기 위하여 정조15년(1791)에 배식단사를 세우고 268인의 충신들의 위판을 모시고 단종제향 때마다 배향하는 충신제향은 218회를 맞이한다.단종제향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왕릉에 제향을 올리는 것으로 지난 1967년 단종문화제를 개최하면서 매년 단종제향일을 즈음하여 지역문화제가 함께 치러짐으로써 영월군의 독특한 문화행사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단종제향시의 축문과 제향홀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執禮 贊儀 先拜 就位 (집례 찬의 선배 취위) (집례와 찬의는 먼저 절을 하고, 각자 자기 위치로 가시오) 樂師率 樂員 佾舞員 入就位 (악사솔 악원 일무원 입취위) (악사장은 악원과 일무원을 거느리고 제자리로 가시오) 諸執事 入就拜位 北向立 (제집사 입취배위 북향립) (모든 집사는 절할 자리로 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鞠躬四拜 俯伏. 興平身 (국궁사배 부복. 흥평신) (몸을 굽혀 4번 절하시고, 일어나 몸을 편히 가지시오. 절 하시오) 贊儀引 諸執事 詣洗位 洗訖 (찬의인 제집사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모든 집사를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諸執事 陞自東階 各 就位 (제집사 승자동계 각 취위) (모든 집사는 동쪽계단으로 올라, 각자 제자리로 가시오.) 贊儀引 諸獻官 入就拜位 西向立 (찬의인 제헌관 입취배위 서향립) (찬의는 모든 헌관을 모시고 절할 자리로 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도록 하시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熙文을 반복해서 연주한다. 參祭員 入就拜位 北向立 (참제원 입취배위 북향립) (참제원은 절 할 자리로 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贊儀詣 初獻官之左 啓請行事 (찬의예 초헌관지좌 계청행사) (찬의는 초헌관 좌측에 이르러, 행사 시작을 청하시오.) 獻官及 諸執事 參祭員 鞠躬四拜(헌관급 제집사 참제원 국궁사배 ) (목례 또는 부복하여 사배) 搢笏 (진홀) (모든 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국궁 (鞠躬) (무릎을 꿇어 절하시오) 배 --- 흥, 배 --- 흥, 배 --- 흥, 배 --- 흥 興平身 (흥평신) (일어나 몸을 편히 하시오) 執笏 (집홀) (모든 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行 晨?禮(행 신관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초헌관이, 제실에서 신을 맞이하는 예입니다) 贊儀引 初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초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초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奠幣熙文을 연주한다. 贊儀引 初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초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동쪽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酌 (감작) (초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 가시오) 搢笏(진홀) (초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三上香 (삼상향) (초헌관은 향합의 향을 세 번 나누어 향로에 사르시오.) 執瓚 灌池 (집찬 관지) (용찬인 제주를 관지에 부으시오.) 執幣 獻幣 (집폐 헌폐) (폐백을 드리시오.) 初獻官 俯伏, 興平身 (초헌관 부복, 흥평신) (초헌관은 무릎을 꿇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몸을 편히 가지시오, 엎드리시오) 執笏 (집홀) (초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初獻官 降復位 (찬의인 초헌관 강복위) (찬의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가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大祝 進饍 (대축 진선) (대축과 모든 집사는 준상과 제상의 복지를 벗기시오.) 行 初獻禮 (행 초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초헌관이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樂作 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악작 보태평지악 보태평지무작) (악원은 보태평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보태평지무를 추시오) ※ 拍을 치고 鼓三聲한 다음 熙文-기명-歸仁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기명-歸仁을 다시 연주한다. 贊儀引 初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초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동쪽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酌 (감작) (초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초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초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執爵 獻爵 (집작 헌작) (초헌관은 잔을 받들어 눈높이만큼 올렸다가 집사에게 전하시오.) 大祝 啓盖 揷匙西柄正箸 (대축 계개 삽시서병정저) (대축은 수라 덮개를 열고 숟가락은 바닥을 동쪽으로 하여 메에 꽂고, 젓가락은 자루를 서쪽으로 하여 시접에 걸치시오.) 初獻官 俯伏, 興 少退 (초헌관 부복, 흥 소퇴 궤) (초헌관은 무릎을 꿇고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조금 뒤로 물러 꿇어앉으시오.) (엎드리시오) 諸獻官 執事及 參祭員 俯伏 (제헌관 집사 급 참제원 부복) (모든 헌관과 집사는 바닥에 손을 짚고 엎드리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大祝 東向 讀祝 (대축 동향궤 독축) (대축은 동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 단종대왕님의 신명이시여! 세월이 흘러 대왕을 흠모하는 정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음식을 드리오며 절을 하오니 편히 흠향 하옵소서 樂作 (악작) (악을 연주하시오) ※ 鼓三慟을 하고 基命-歸仁을 연주한다. 諸獻官 執事及 參祭員 興平身 (제헌관 집사급 참제원 흥평신) (모든 헌관 집사는 일어나서 몸을 편히 하시오.) 執搢 (집홀) (모든 헌관과 집사는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初獻官 出自西門 降復位 (찬의인 초헌관 출자서문 강복위) (찬의는 초헌관을 모시고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保太平之舞退 定大業之舞進 (보태평지무 퇴 정대업지무 진) (보태평의 춤은 물러나고, 정대업의 춤은 들어오시오) 行 亞獻禮 (행 아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아헌관이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贊儀引 亞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아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아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악작 정대업지악 정대업지무작) (악원은 정대업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정대업지무를 추시오) ※ 晉鼓十慟한 후에 昭武-篤敬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篤敬을 반복 연주한다. 贊儀引 亞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아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아헌관을 모시고 동쪽 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爵 (감작) (아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아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아헌관은 홀을 꽂으시오) 執爵 獻爵 (집작 헌작) (잔을 받들어 눈높이만큼 올렸다가 집사에게 전하시오.) 亞獻官 俯伏 興平身 (아헌관 부복 흥평신) (아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나서 몸을 편히 하시오.) 執笏 (집홀) (아헌관은 홀을 잡으시오) 贊儀引 亞獻官 出自西門 降復位 (찬의인 아헌관 출자서문 강복위) (찬의는 아헌관을 모시고 서문으로 나와 제자리로 인도하시오.) ※ 拍을 쳐서 앞의 음악을 끊고 永觀을 연주한다. 樂止 (악지) (악을 그치시오) 行 終獻禮 (행 종헌례) (지금부터의 의식은 종헌관이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예입니다.) 贊儀引 終獻官 詣洗位 洗訖 (찬의인 종헌관 예관세위 세흘) (찬의는 종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가서, 손을 씻도록 인도하시오.) 樂作 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악작 정대업지악 정대업지무작) (악원은 정대업지악을 연주하고, 일무원은 정대업지무를 추시오) ※ 晉鼓三慟한 후에 昭武-篤敬을 연주한다. 행례가 끝나지 않으면 篤敬을 반복 연주한다. 贊儀引 終獻官 陞自東階 詣所 西向立 (찬의인 종헌관 승자동계 예준소 서향립) (찬의는 종헌관을 모시고 동쪽 계단으로 올라, 준소 앞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게 하시오.) 監爵 (감작) (종헌관은 술을 따르는 것을 살피시오.) 酌酒 (작주) (용작으로 술을 떠서, 잔에 부으시오.) 仍詣 神位前, (잉예 신위전, 궤) (종헌관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어 앉으시오. 나아가시오) 搢笏 (진홀) (종헌관은 홀을 꽂으시오)